PBR 이란 주가순자산비율 입니다.
기업이 가진 자산을 나타내는 지표인데, 기업의 자산의 양을 나타내는 게 아니라 주가 대비 자산을 얼마를 가지고 있고, 그 자산이 현재 주가와 비교해서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알려줍니다.
PBR에서는 순자산이 아니라 주당순자산이므로 1주당 순자산이 얼마나 있는가를 나타내게 됩니다.
PBR은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몇 배의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수치가 되는 것이죠.
주가가 1만원이고 주당순자산이 1만원이면 PBR은 1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순자산이 1억원이고 총 발행주식수가 10,000주인 기업을 A라고 해봅시다.
☞ 1억원 /10,000주 를 계산해보면 A기업의 주당순자산은 1만원 되죠?
주가는 1만원이니 1만원(주가) / 1만원(주당순자산) 을 계산하면 PBR수치가 나오게 됩니다.
계산해보면 PBR은 1이되는데, PBR이 1이라는 의미는 현재 A기업의 주가가 주당순자산과 같다는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자산이 시가총액과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쉽게말하면 이 기업의 자산이 현재 시가총액만큼의 가격과 같다는 것이죠.
Q) 그렇다면 이 수치가 왜 의미를 가질까요?
A) 기업의 순자산은 결국 기업이 망했을때 청산가치와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망하더라도 건물, 땅, 공장이라던지 등을 팔아서 기업을 청산하는데 쓸 수 있기 때문이죠 . 청산하고도 돈이 남으면 주주들에게 나눠주는 것은 당연하겠죠?
그러니 여기서 믿음이 생기는 겁니다. 기업의 주가는 청산가치보다는 높아야 안전하지 않겠냐는 믿음 말이죠.
PBR은 주가가 떨어질때 어느정도 안전망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2000억의 부동산을 가진 회사가 시총 200억이 되는게 쉬운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투자자들은 저평가된 기업이라고 판단해 주식을 매수, 주가가 다시 오르기 시작하는겁니다.
여러분들 기본개념을 이해를 위해서 설명드린것이고 힘들게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네이버,다음 포털사이트는 물론 증권사 HTS에서 다 계산을 해서 알려주기때문에 보고 참고하시면됩니다.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지표는 없습니다.
기업은 돈을 벌어야 하고 돈을 얼마나 버는지 이익이 얼마인지 살펴보시고, 돈으로 보이지 않는 무형자산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브랜드,영업권 등 무형자산도 가치에 평가되기 때문에 놓치지 않고 고려해보셔야합니다.
PBR을 이용해서 지나치게 과열양상을 보이고있는 고평가 주식들을 피하고 저평가 된 기업들을 찾아서 가치투자를 하는데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돈이 되는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07 시장 브리핑 (0) | 2021.01.07 |
---|---|
[2차전지 관련주와 전망] (0) | 2021.01.06 |
[21.01.04 시장마감] (0) | 2021.01.04 |
20.12.30 시장 마감 브리핑 (0) | 2020.12.30 |
20.12.29 시장 마감 브리핑 (0) | 2020.12.29 |